"이 정부 출범전 소위 대북 휴민트체제가 와해되었죠. 그런데 그 이유가 가관이었어요. 이들이 이명박 음해세력이었다는 거죠. 일국의 소중한 자산이 이런 모략 한마디에 날라가는 한심한 일들이 다반사였죠. 다 국정농단세력이 벌인 일들."
MB세력이 대선에 이기지마자 MB측근 실세들이 국정원 장악을 위해 김대중-노무현 정부때 구축한 대북 휴민트에게 '음해세력'이란 누명을 씌워 추방해 버렸다는 주장이었다.그의 폭로에 당시 청와대는 발칵 뒤집혔으나,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언들이 잇따랐다.
대북통인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정 의원 발언 직후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두언 의원 생각에 동의한다"며, 구체적으로 MB정권때 축출된 서훈 국정원 3차장의 실명을 거론한 뒤, "제가 2000년 싱가폴, 베이징, 상하이에서 6.15 남북정상회담 특사를 할 때 함께 다니신 분이다. 그 분은 진짜 어떤 의미에서 보면 대북문제의 국보급 인사다. 그런 전문가는 국정원에서, 또 젊기 때문에 오래 일을 할 수 있었으면 참 좋았을 것인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여권의 핵심 관계자도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현 정권 출범 직후 국정원에서 북한의 고위층과 돈독한 관계를 형성해 왔던 고위직들이 밀려났다”며 “서훈 당시 국정원 3차장 같은 인물이 대표적이었다. 서훈 전 차장은 정권교체 직후 정두언 의원과 만난 적이 있는데, 실세였던 박영준 당시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 총괄팀장이 이를 알고 견제 차원에서 옷을 벗긴 것으로 안다”고 동일한 증언을 했다.
그는 “서훈 전 차장은 실세인 장성택 당 행정부장(국방위 부위원장)과도 밤새워 통음할 정도로 북한 고위층과 관계가 밀접했던 인물”이라며 “이런 인물들이 제거됨으로써 대북 인적정보망이 지금처럼 붕괴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원세훈 국정원장이 2009년 2월 취임 직후에 3차장 산하의 대북전략국을 해체했다. 남북회담, 남북 비공개접촉, 교류협력을 하던 파트였는데 이를 없앤 것”이라며 "대북전략파트에는 오랜 시간 북한 문제를 다뤄온 요원 200여명이 근무중이었는데, 실무자들은 대부분 국내 파트로 전출됐고 고위급들은 대부분 옷을 벗었다”고 증언했다.
이같은 증언들에 대해 MB는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비대위원장 등을 만난 자리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을 북한 발표를 보고 알았고 그전에 몰랐던 게 사실이지만 우리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몰랐다"고 궁색한 변명을 했다. 하지만 당시 우리나라를 제외한 대다수 국가들은 북한에 '중대 변고'가 발생한 사실을 사전에 알고 김정일 사망을 감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대북 휴민트는 MB정권 집권후 MB세력의 국정원 장악과정의 민주정권 10년 인맥 숙청과 신냉전정책으로 인해 완전 와해됐다는 게 정설이다. 그러다보니 그후 7년간 대북 동향에 눈뜬 소경처럼 돼, 대북 휴민트를 고작 '탈북자'나 '조선족'에게나 의존하는 '하도급 수준'으로 전락한 것이다.
<조선일보>도 뜬금없는 새누리당의 '김대중-노무현 정권 탓'이 한심한지, 14일 <국정원의 '하도급' 수사>란 기자칼럼을 썼다.
"국정원은 틈만 나면 해외에서 목숨 걸고 활동하는 요원을 이해해달라고 말한다. 적국 기관에 위장 잠입도 마다치 않는 영화 속 장면을 떠올려 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드러난 사례를 보면 목숨 건 사람은 따로 있고, 국정원은 목숨 걸 사람을 돈 주고 고용했을 뿐이다. '김사장'이 중국 싼허(三合)로 떠나는 협력자와 헤어진 곳도 인천버스터미널이었다. 국정원이 말하는 '요원'의 역할은 대부분 '조선족'과 '탈북자'가 맡은 셈이다.
한 법조계 인사는 '건설에서도 하도급·재하도급 비중이 높아질수록 사고율이 높아진다'며 '국정원은 그 많은 예산과 적지않은 급여로 대체 뭘 하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국정원은 서로를 '전무', '사장'이라고 부르며 편하고 안전한 직장이 될수록 국가와 국민은 더 불안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