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청와대 박그네가 님을 위한 행진곡 부르지마라 직접. [동영상] 박원순 시장 옥바라지골목 철거중단.눈물이.카테고리 없음 2016. 5. 18. 13:54
■ Best Agora
('제목'을 클릭하면 글로 이동합니다.)
1위.(경제) ★청와대 박그네가 님을 위한 행진곡 부르지마라 직접...2위.(경제) [동영상] 박원순 시장 옥바라지골목 철거중단..눈물이...3위.(경제) 박지원...함부로 5.18 입에 담지 말아...4위.(경제)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르는 문재인, 안철수 | 한겨레 영...5위.(부동산) 점점 밀려오는 주식 붕괴 이론. 1위. ★청와대 박그네가 님을 위한 행진곡 부르지마라 직접...
종편에서
사실을 제대로 밝혔다.
박그네가 직접 내린 지시라고
종편에서 밝혔다.
모든 화젯거리는 단 하나다.
박그네가 직접 님을 위한 행진곡 부르지마라 지시했다!
끝......
더이상 할말이 있나??????????
<페이지 위로 이동↑(클릭)>
. 2위. [동영상] 박원순 시장 옥바라지골목 철거중단..눈물이...
서울시 종로구 무악동 46번지, 일명 '옥바라지 골목'으로 불려온 이곳에서 오랫동안 운영돼온 구본장 여관이 강제철거 됐다.
옥바라지 골목은 서대문형무소역사관과 마주한 탓에 일제시대부터 수감자 가족이 생활하며 옥바라지를 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박완서의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배경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이곳은 뉴타운 지역으로 지정된 바 있다.
'옥바라지 골목' 구본여관, 17일 새벽 강제철거
17일 오전 6시 20분께 철거 용역 50여 명이 옥바라지 골목 내 구본장 여관으로 들어오는 두 곳 골목길로 들어와 강제집행을 시도했다. 앞서 무악동 옥바라지 골목의 재개발을 반대하는 비상대책위원회도 양쪽 골목길과 구본장 여관 정문 등에 인원을 배치하고 용역의 강제철거에 대비했다.하지만 소화기를 뿌리며 들어오는 용역들을 막기는 역부족이었다. 대책위 회원들은 용역들에 의해 강제로 끌려나왔고, 이후 일사천리로 구본장 여관 내 집기들이 사다리차로 들려나왔다.구본장 여관 주인 이길자 씨는 "사람 죽으라고 이렇게 한다"며 "어떻게 이럴 수 있느냐"고 답답함을 호소했다. 이 씨는 "집행관에게 읍소하니 조합 가서 이야기하라고만 한다"며 "답답해서 서울시에 이야기했으나 소용 없었다. 지금의 문제는 서울시에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박원순 시장 감짝방문 "옥바라지 골목 철거 중단한다"
현장방문해 '서울시 모든수단동원..손해배상 당해도 좋다"
[오마이뉴스김경년 기자]
[기사보강 : 17일 오후 1시 10분]박원순 서울시장이 철거 과정에서 홍역을 앓고 있는 옥바라지골목 공사를 중단하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박 시장은 17일 오전 옥바라지골목을 깜짝 방문해서 "지금 서울시가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해서 이 공사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손해배상 당해도 좋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당초 이날 오후 5시 20분 시장실에서 옥바라지골목보존대책위 관계자들과 면담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오전 옥바라지골목의 상징이었던 '구본장여관'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철거측과 반대측이 격렬한 몸싸움을 벌이는 등 문제가 불거지자 현장을 전격 방문한 것으로 보인다.
박 시장이 공사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하자, 주변에 둘러서 이 모습을 지켜보던 대책위 관계자들과 사회단체 회원들은 일제히 "와~"하며 환호성을 질렀다.
이들은 서로 손을 맞잡거나 얼싸 안고 "그동안 수고했다", "고생한 보람이 있다"며 서로 격려하는가 하면 감격에 겨워 기쁨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최은아 대책위 총무는 "오후에 있을 만남을 준비하고 있는데 갑자기 박 시장이 방문해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선물을 주고 갔다"며 "만감이 교차한다"고 소감을 말했다.
수많은 독립운동가와 민주화 운동가들의 가족들이 옥바라지하기 위해 머물렀던 옥바라지골목은 재개발사업에 의해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나, 반대주민들은 시민단체, 역사학계 등과 함께 원형 보존을 요구하며 투쟁해왔다.
동영상 보니.. 눈물이 핑도네요.. 역시 박원순 시장이십니다.
재개발보다..역사의 아픔보존을 선택한 박원순 시장.
이게 역사이고, 아픔을 가진 약자의 편에서 내린 결정입니다.
또한 소통을 통한 합의인 것이고...
<페이지 위로 이동↑(클릭)>
. 3위. 박지원...함부로 5.18 입에 담지 말아...
그네에게는
호남홀대
호남무시
이런말 못하니???
임을 위한 행진곡..
박지원은 입에 올릴 자격이 없습니다...
저런 사람이 광주를 말하고
5.18을 입에 담는건
진짜 호남분들
광주분들 그리고 무었보다
망월동 민주영령들을 욕보이는겁니다........................
윤상현 이하
5월 영령들이 목숨걸고
두화니 일파와 싸울때
쟈는 미국에서 호의호식하며 살던넘이여
그후 두화니 일당이 광주를 잔인하게 짓밟고 학살한후
정권을 잡자
구국의 영웅이라 두화니를 칭송한 넘이여
나중에 그공로로 훈장도 받은 넘이여..
그런 넘이 이제 새삼스럽게
임을 위한 행진곡으로 드럽게 나대네...
구걸하지말자...
저들에게...
제창이든 합창이든 ..................
진정으로 광주를 생각하고
진정으로 5.18민주화 운동의 거룩한 뜻을 함께 하고
진정으로 민주영령들의 고귀한 희생을 추모하는
그런 사람들끼리 부르면 된다....씨붕.
대굴빡에 뗭만 든것들이
모여 기념식을 한들
망월동 영령들은 하나도 안 반갑다................
아니 국가라는 이름으로 또다시 그분들을 욕보이는거다
20대 국회때 아예 법으로 만들어 버리자고.............
지정곡으로...........................
<페이지 위로 이동↑(클릭)>
. 4위.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르는 문재인, 안철수 | 한겨레 영...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르고 있는 문재인 대표
5·18 전야제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르고 있는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
한겨레 영상뉴스 https://youtu.be/rUdiH5iJ1HQ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르고 있는 안철수 대표
5·18 전야제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 부르고 있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한겨레 영상뉴스 https://youtu.be/VFJlvxDbJRk
제 36주년 5.18민중항쟁 민주대행진 및 전야제 (생방송)
팩트TV 2016.05.17 https://youtu.be/KavUBaV-jL45.18민중항쟁 전야제 민주대행진. 문재인 전 대표와 심상정 대표가 나란히 걷고 있습니다.
https://twitter.com/JUNGHOPARK/status/732516217060102144<페이지 위로 이동↑(클릭)>
. 5위. 점점 밀려오는 주식 붕괴 이론
요새 그래프만 공부하니까
저의 자료 그물망에 주식 관련 그래프가 많이 걸려 올라 오네요
저만 보기에는 아까운 것 같아서 자료 올립니다
현재 이동 평균선 이격도가 상당히 크죠...그만큼 과열이라는 뜻이겠죠... 과거 하락 기간에 하락폭도 나와 있으니까 비교하시면서 공부 하시면 될 것 같네요
위 그래프는 추세선과 심리선을 나타 낸 것입니다...이것도 비교하시면서 공부 하세요
위 그래프도 마찬가지로 추세선과 냉각 시점을 나타낸 것이죠...비교 해 보세요
위 그래프는 거래량 심리선을 나타내고 있죠...과열과 냉각을 비교 하시면서 공부 하시면 되겠습니다
위 그래프는 헤드앤숄더 그래프로 현재 진행 되고 있죠...그리고 단기적으로 203.64 정도 형성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야기 하고 있고 148.55까지 추락 할 수 있다고 이야기 하고 있네요
위 그래프는 이동 평균선 빨강색과 검정색 교차지점에서 하락 기간 이였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네요
위 그래프도 마찬가지로 빨강색과 파란색 교차 지점에서 하락과 상승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네요
하이먼 민스키 모델 입니다
돈에 대한 인간의 심리 유형은 다 들어가 있는 것 같네요
제가 볼때는 현재가 (새로운 논리 탄생)과정 아닐까요?
아고라에 올라 오는 글들 보면 많은 글들이 새로운 논리 글들이죠
그만큼 불확실하고 혼돈의 세상이라 새로운 논리들이 마구 쏟아져 나오는 것이겠죠
그러다가 1차 폭락하면 현실부정이 오겠죠
그때는 이런 이야기가 나오겠죠
재상승을 위한 과정 이라는 현실 부정 이야기가 나오겠죠
그리고 그 다음은 공포 투매 좌절 자살....주식 시장의 반복되는 역사이죠
그럼 논객님들 경제 공부 열공 하시고 하시는 일 (주식 빼고) 대박 받으소서...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꾸벅^^
<페이지 위로 이동↑(클릭)>
반응형